본문 바로가기

사회초년생

[사회초년생 재테크 : 소비 관리] 소비 습관만 잡아도 돈을 번다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재테크 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늘 나눠 볼 이야기는 소비 관리에 대해서입니다. 이제 취업에 성공해서 막 들뜬 사회초년생들은 월급을 더 많은 돈으로 불리기 위해서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할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그래서 주식, 펀드, 적금 등 다양한 투자 상품들을 찾아보면서 재테크를 어떻게 할지 고민을 하고 있을 겁니다. 본인이 벌어들인 월급을 저축 및 재테크 하겠다는 마음가짐은 정말 좋습니다. 그런데 본격적인 저축과 재테크를 하기 전에 항상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돈의 낭비를 줄이는 것입니다. 월급을 받은 후 빠져나가는 돈이 적어야, 그만큼 투자할 수 있는 돈의 여력도 늘어납니다. 만약 250을 벌었는데, 이것저것 쓰다보니 200..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V자 반등은 언제올까?] 코로나 후 현재 시장 상황 짚어보기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재테크 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이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이슈가 되기 시작한지 2개월 조금 더 되어갑니다. 불과 60~70일 정도 사이에 어마어마한 공포가 휩쓸고 지나갔습니다. 장미빛 미래만 있을 것 같았던 주식 시장에 큰 폭락이 찾아왔습니다. KOSPI 지수가 30% 넘게 떨어지며 1400 대를 찍고 회복해서 1700대에 머물기 시작했습니다. 어느 정도 회복하긴 했지만, 그래도 아직 올라가야 할 길이 한참남았습니다. 여전히 최고점 찍었던 것 기준으로 -20%가 넘게 하락했습니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인 것은, 딱 1년 전 수준 정도로만 떨어졌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거대한 경제 공황, 주식 시장 패닉은 더 이상 찾아오지 않는 듯 보입니다.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연금저축펀드 고르기] TDF 펀드는 무엇일까? 좋을까?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재테크 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제가 주식보다는 펀드에 관심이 많다보니 펀드 관련 글을 오늘 가지고 왔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내용은 연금저축펀드입니다. 그 중에서 TDF 펀드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세상에는 정말 다양한 펀드가 많지만, 그 중 특이한 펀드가 있습니다. 나름 신입 펀드입니다. (생긴지 5년이 안됐음) 그게 바로 TDF 펀드입니다. TDF펀드 TDF펀드는 TARGET DATE FUND의 줄임말입니다. 이 영어를 해석하면 가입자(TARGET)의 나이 및 생애주기(DATE)에 맞춰서 자산을 배분하고 밸런싱하는 연금펀드(FUND)입니다. 즉, 쉽게 말해서 가입자의 생애주기에 따라서 투자하는 자산을 자동으로 밸런싱해주는 펀드라는 것입니다...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주식 말고 좋은 펀드 고르기] 펀드 평가서 읽는 법 2탄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은 저번 재테크 편에 이어서 펀드 평가서 읽는 법 2탄을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저번 펀드 평가서 읽는 법 1탄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저번 시간에는 펀드 평가서 내용 중 '요약 정보'에 대해서만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요약 정보 탭의 다음 탭인 수익률 탭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1. 수익률 펀드 수익률을 숫자로도 확인할 수 있고, 그래프로 추이를 쉽게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 펀드의 경우, 대체로 벤치마크 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달성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숫자를 보시면 변동 폭이 매우 크긴 하지만 수익률이 좋을 때는 굉장히 좋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투자상품이라고 해도, 드라마틱한 수익률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주식말고 펀드 투자하자] 펀드 평가서 읽는 법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사회초년생 재테크 관련하여 글을 들고 왔습니다. 최근 글은 주식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많이 했었는데요. 오늘은 주식말고 펀드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펀드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 어떤 펀드를 사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좋은 펀드를 사야 좋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니까요. 제대로 된 펀드를 고르려면 펀드에 대한 설명 및 평가가 나와있는 펀드 평가서를 읽어 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펀드 평가서' 읽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펀드 평가서'를 읽을 수 있는 사이트를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www.morningstar.co.kr 불러오는 중입니다... '모닝스타코리아' 라는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는 모든 펀드에..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주식을 살 때 이것은 알아야해] PER, PBR, EV, EVITDA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재테크 이야기를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이번 시간엔 주식을 살 때 꼭 알아야할 용어들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저번 시간에 BPS 관련해서 이야기를 나눠봤었는데요.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로서, 이 회사 주식이 갖는 최소한의 가치라고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주가가 많이 떨어지더라도, 이 BPS를 중심으로 기업의 본질 가치를 추정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PER, PBR, EV/EVITDA 이 3가지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세 가지 모두 주식을 볼 때 중요한 지표이므로 알아두시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로서 한국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이 PER 계..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주식을 살 때 꼭 봐야할 것] BPS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저번 편에 이어 재테크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저번 편에서는 언제 투자해야 좋은지 파악할 수 있는 시그널(지표)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주식을 살 때 꼭 확인해야 하는 지표가 다양하게 있는데 그 중 하나인 BPS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이 지표는 특히 요즘 같이 코로나로 인해 시장이 어지럽고 변동성이 클 때 더 주목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요즘 같이 변동성이 큰 시장은 며칠만에 주식이 반토박이 나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 편은 더더욱 주의해서 읽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BPS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줄임말입니다. 한국말로 '주당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주식 투자] 주식을 지금 투자해도 되는지 알 수 있는 세가지 지표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주식시장이 너무나 시끄럽습니다. 예전의 비트코인 시장이 연상되는 모습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량주, 대형주인 삼성전자도 하루는 -7% 찍었다가 하루는 +10%를 찍는 등 움직이는 등락 폭이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 그리고 지금이 아직 바닥이라고 확신할 수도 없습니다. 최근 코스피는 1500이 뚫릴 때까지 내려가더니, 또 오늘 기준으로 1700대를 금세 회복했습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도 마이너스가 꽤 줄었더군요. 이렇듯 주식시장은 사실 절대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고 하면 무조건 거르세요...) 그런데 언제까지고 이렇게 크게 주식시장이 요동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코로나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