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되기 수업

[사회초년생 재테크 : 1억 모으기] 첫 월급을 받은 후 시작해야 할 것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부자되기 수업 카테고리에서는 사회초년생이 돈을 잘 모으기 위해 꼭 필요한 팁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첫 월급을 받은 후 해야할 일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첫 월급을 받으니 당연히 기쁘실겁니다. 내가 직접 일해서 번 돈이고, 한 번에 그 금액이 내 통장에 찍힐 일이 취업하기 전까지는 없었기 때문이죠 (물론 알바를 많이하셨던 분들이라면 아닐수도..).

 

그래서 기쁜 마음에 부모님께도 취업선물 사드리고, 많은 친구들에게 한턱 쏠 것입니다. 그리고 갖고싶었던 제품들도 쇼핑하겠죠. 그러다보면 월급은 순식간에 사라질거에요...ㅋㅋㅋ 한 달 생활비 정도만이 겨우 남겠죠.

 

첫 월급은 자유롭게 본인이 하고 싶으셨던 일에 돈을 쓰셔도 좋습니다. 다만 돈을 열심히 쓰는 와중에, 꼭 만드시고 지키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CMA 계좌 개설하기

 

첫 째, 일반 계좌 두 개 더 추가하기 (월급 계좌 외에 2개)

 

개설해야할 일반 계좌 두개는 비상금용 계좌 하나랑, 증권사 CMA 계좌 하나입니다. 각각이 왜 필요할까요? 

 

비상금용 계좌는 나중에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를 대비해서입니다. 사람이 살다보면 기본 생활비 외에 더 써야하는 일이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트북을 새로 산다거나, 새 옷을 사야하는 일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내 돈은 적금에 묶여있거나 투자 상품에 있어서 빼기 곤란한 상황입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비상금이 담겨있는 통장이 필요합니다. 

적정 금액은 본인의 한 달치 월급의 반 정도를 비상금 통장에 담아두시면 됩니다.

 

증권사 CMA 계좌는 내가 모으는 돈으로 투자 상품을 사기 위해서입니다. 증권사를 통해 내 돈을 불리기 위한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펀드 상품 및 주식 등을 살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인 성향에 맞게 주식이나 펀드를 구매하여 모은 돈을 더 크게 만들기 위해 투자합니다. 

 

물론 안전지향형 성격이라서 투자에 대해 꺼려하시는 분들이 꽤 있으신데, 그렇다면 굳이 투자 상품에 넣지않고 CMA 계좌에 넣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CMA 계좌는 은행과 달리 이자를 매일매일 조금씩 주기 때문에 돈이 조금씩 늘어나는 것을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IRP 계좌 설명
둘 째, 연금저축계좌 만들기 or IRP 계좌 만들기

 

일반 계좌를 만드신 후에 추가적으로 만드셔야 할 것은 연금저축계좌입니다. 연금저축계좌랑 IRP를 둘다 개설하시거나, IRP만 개설하셔도 됩니다. 필요할 때 쓸수도 없고, 30년이나 묶어둬야 하는 돈인데 왜 만들어야하나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실겁니다. 그런데, 회사에 다니면서 기본적으로 내가 가입되어 있는 국민연금만으로는 나중에 은퇴후에 결코 넉넉한 생활을 누리시지 못할겁니다. 그래서 개인 연금, 퇴직 연금을 추가적으로 가입하여 정기적으로 납입하는 것은 나중에 편안한 노후를 누리기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세액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IRP 및 연금저축계좌는 통합해서 1년에 총 1800만원을 불입할 수 있습니다. 그 중 700만원은 세액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만약 소득이 5500만원 이하인 직장인이라면 16.5%를 적용해서 115만원을 돌려받으실 수 있고, 5500만원 이상이시면 13.2%를 적용하여 약 92만원을 돌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추천드리는 것은, 굳이 1800만원까지 채우실 필요없고 딱 세액공제 혜택받는 700만원까지만 IRP 계좌에 넣어주시는 것입니다. 매달 59만원씩 정기적으로 넣으셔도 되고, 아니면 연말에 한꺼번에 700만원을 채워주셔도 상관없습니다. 

 

<정리>

월급이 들어오시면 처리해야할 프로세스를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돈이 들어오면 적금 드신 것 그리고 연금계좌 혹은 IRP 계좌에 돈을 넣습니다 (정기적으로 넣는 사람 기준).

2. 그 후 비상금 계좌에 돈이 채워져있지 않다면 비상금 계좌부터 채워넣습니다.

3. 만약 비상금 계좌가 채워져있다면 한 달 생활비만 남긴 후, 일반 증권사 계좌로 돈을 이동시킵니다.

4. 펀드 혹은 주식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시거나, CMA 이자를 정기적으로 받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재테크 관련해 더 다양한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문의사항은 ykdatalab@gmail.com 으로 메일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