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되기 수업

[사회초년생 재테크 : 주식말고 펀드 투자하자] 펀드 평가서 읽는 법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사회초년생 재테크 관련하여 글을 들고 왔습니다. 최근 글은 주식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많이 했었는데요. 오늘은 주식말고 펀드 투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펀드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 어떤 펀드를 사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좋은 펀드를 사야 좋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으니까요. 제대로 된 펀드를 고르려면 펀드에 대한 설명 및 평가가 나와있는 펀드 평가서를 읽어 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펀드 평가서' 읽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단 '펀드 평가서'를 읽을 수 있는 사이트를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www.morningstar.co.kr 불러오는 중입니다... '모닝스타코리아' 라는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는 모든 펀드에..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주식을 살 때 이것은 알아야해] PER, PBR, EV, EVITDA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재테크 이야기를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이번 시간엔 주식을 살 때 꼭 알아야할 용어들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저번 시간에 BPS 관련해서 이야기를 나눠봤었는데요.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로서, 이 회사 주식이 갖는 최소한의 가치라고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주가가 많이 떨어지더라도, 이 BPS를 중심으로 기업의 본질 가치를 추정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PER, PBR, EV/EVITDA 이 3가지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세 가지 모두 주식을 볼 때 중요한 지표이므로 알아두시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로서 한국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이 PER 계..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주식을 살 때 꼭 봐야할 것] BPS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저번 편에 이어 재테크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저번 편에서는 언제 투자해야 좋은지 파악할 수 있는 시그널(지표)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주식을 살 때 꼭 확인해야 하는 지표가 다양하게 있는데 그 중 하나인 BPS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이 지표는 특히 요즘 같이 코로나로 인해 시장이 어지럽고 변동성이 클 때 더 주목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요즘 같이 변동성이 큰 시장은 며칠만에 주식이 반토박이 나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 편은 더더욱 주의해서 읽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BPS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줄임말입니다. 한국말로 '주당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주식 투자] 주식을 지금 투자해도 되는지 알 수 있는 세가지 지표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주식시장이 너무나 시끄럽습니다. 예전의 비트코인 시장이 연상되는 모습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량주, 대형주인 삼성전자도 하루는 -7% 찍었다가 하루는 +10%를 찍는 등 움직이는 등락 폭이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 그리고 지금이 아직 바닥이라고 확신할 수도 없습니다. 최근 코스피는 1500이 뚫릴 때까지 내려가더니, 또 오늘 기준으로 1700대를 금세 회복했습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도 마이너스가 꽤 줄었더군요. 이렇듯 주식시장은 사실 절대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고 하면 무조건 거르세요...) 그런데 언제까지고 이렇게 크게 주식시장이 요동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코로나도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코로나 패닉과 주식시장] 지금이 주식을 사야할 적기일까?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도 코로나 패닉과 주식시장 시리즈로 돌아왔습니다. 저번 편에 이어 지금이 주식을 사야할 적기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면... 이것은 본인의 현재 투자 상황에 따라 조금 갈릴 것 같습니다. 1) 매달 꾸준히 모으던 투자자 삼성전자 주식을 매달 꾸준히 모으던 투자자라면 지금 하고 있는 방식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주변 말에 휘둘려 더 매수를 한다거나, 매수를 중단하고 손절을 하는 것은 안 좋은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주식을 보고 있는 투자자라면, 긴 호흡의 마라톤이라고 생각합시다. 여러분이 원하는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기까지는 아직 시간을 길게 보셔야 합니다. 몇 년동안 적금을 든다고 생각하고 본인이 처음에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코로나 패닉과 주식시장] 지금 사야할 주식은 이거다! 라는 말에 절대 속지말기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매일매일이 예상을 빗나가고 있습니다. 참 암담하네요. 제 잔고를 보기가 두려워집니다. 왠지 점점 진정될 것 같으면 어김없이 큰폭으로 떨어지는 것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어제도 잘 버티는가 싶더니, 장 끝나갈쯤에 빠른 속도로 떨어지면서 결국 심각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끝났습니다. 오늘은 더 심각하더군요... 여기가 진짜 바닥인가? 하고 생각하면 더 떨어져서 감도 안잡힙니다. 처음에 그 표를 봤을 때 저는, 누가 작정하고 끌어내리려는 것 마냥 떨어지는 주가 차트를 보면서 황당했습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떨어지다보니, 어느새 60000대에 있던 삼성전자 주식도 지금 40000원 초반대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이 하락폭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이 상태가 조금 ..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코로나 팬데믹 선언과 요동치는 주식시장] 주식을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며칠 전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을 했습니다. '팬데믹'은 WHO에서 발표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입니다. 다시 말해 지금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는 것을 WHO에서도 인정한 것이죠. 이 사태까지 오지 않기를 바랐는데, 결국 전세계적으로 상황이 심각해졌습니다. 이탈리아는 감염자가 최근 급격하게 늘더니 감염자 수 2위였던 우리나라를 빠른 속도로 추월했죠. 이탈리아 뿐만이 아닙니다. 현재 중국은 말할것도 없고 미국, 유럽 등 선진국도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검사 속도가 느린것 뿐이지 아마 우리나라보다 감염자 수가 많은 나라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코로나19가 불러온 파장은 생각보다 굉장히 컸습니다. 중국의.. 더보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 좋은 펀드 고르기 전략] 펀드 고를 때 지켜야할 규칙 : 투자 성향, 대표 펀드, 꾸준한 성과 안녕하세요, 데이터 조물주 용가리입니다. 오늘은 좋은 펀드를 고르기 위해 기억해두시면 좋을 규칙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좋은 펀드는 무엇일까요? 매년 좋은 수익 성과를 보여주는 펀드입니다. 그런데 사실 꾸준히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주식 시장이 계속 우상향만 하는 것도 아니고, 휘청거릴때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좋은 평가를 받는 펀드라도 항상 좋은 흐름을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다른 펀드와 비교해 시간을 길게 보았을 때 좋은 성과를 낸 펀드들은 있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사람마다 생각하는 좋은 펀드는 다 주관적입니다. 예를 들어, A가 원금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많이 안고가는 것을 싫어한다면 주식에 비중이 높은 펀드는 위험이 높으므로 선호하지 않을 것입니다. 반대로 원금.. 더보기